2025년이 끝나기 전, 청년이 꼭 챙겨야 할 ‘현금성 지원금’들이 있습니다.
아직도 “내년쯤 알아봐야지” 하고 미루고 있다면, 이미 수백만 원의 기회를 놓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.
현재(2025년 10월 기준) 신청 가능한 청년 지원금은 대부분 신청 마감이 임박했거나,
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바로 지금 신청 가능한 청년 지원 제도들만 선별해 정리했습니다.
조건, 지원금 규모, 신청 링크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.
✅ 지금 신청 가능한 청년 지원금 총정리 (2025년 10월 기준)
| 제도명 | 대상 | 지원내용 | 신청 마감 | 신청처 |
|---|---|---|---|---|
| 청년내일저축계좌 | 근로 중인 저소득 청년 | 월 납입 시 정부 월 10~30만 원 매칭 (3년) | 2025년 10~11월 모집 중 | 복지로 |
| 청년월세지원 (지자체) | 무주택 청년 | 월 20만 원 × 최대 12개월 | 지역별 2025년 하반기 접수 중 | 청년포털 외 |
| K-디지털 크레딧 | 미취업 청년 | 교육비 150만 원 상당 바우처 | 상시 | HRD-Net |
| 청년 전월세 대출 | 중소기업 재직 청년 | 고정금리 1.2% 대출 | 상시 | 주택금융공사(HF) |
| 청년수당 (지역별) | 거주지 청년 | 월 50만 원 내외 수당 | 지자체 하반기 접수 중 | 청년정책플랫폼 |
1. 청년내일저축계좌 (2025년 하반기 모집 진행 중)
청년이 매달 저축하면, 정부가 3배 가까이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-
대상: 만 19~34세,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청년
(중위소득 100% 이하 조건 충족 시) -
내용:
월 10만 원 저축 시, 정부가 최대 월 30만 원 추가 지원 (최대 3년간)
→ 총 수령액 약 1,440만 원 가능 -
모집 일정:
2025년 하반기 기준 10~11월 2차 모집 중
(지자체에 따라 마감일 상이) -
신청처: 복지로 바로가기
🔔 Tip: 미리 공동인증서 + 소득증빙 서류 준비하면 접수 빠름
2. 청년월세지원 (지자체별 2025년 하반기 접수 중)
1인 가구 청년의 월세 부담을 덜어주는 핵심 제도!
-
대상: 만 19~39세, 부모와 별도 거주, 무주택 청년
-
내용:
월 최대 20만 원 × 최대 12개월 = 최대 240만 원 지원 -
접수 일정:
서울시, 인천시, 경기도 등 10~11월 하반기 접수 중 -
신청처: 서울청년포털, 지역별 홈페이지 참고
⚠️ 선착순 혹은 예산 소진 시 마감, 지금 신청 필수!
3. K-디지털 크레딧 (정부 지원 온라인 교육비)
코딩·AI·마케팅까지, 원하는 온라인 강의 최대 150만 원 지원
-
대상: 만 34세 이하 미취업 청년
-
내용:
온라인 강의 플랫폼(인프런, 패스트캠퍼스 등)에서
최대 150만 원까지 국비 수강 가능 -
신청처: K-디지털 크레딧 공식 사이트
💡 인기 강의 예시: GPT 활용법, 데이터 분석, UX/UI 디자인 등
4. 중소기업 청년 전월세 대출 (고정금리 1.2%)
자취 청년을 위한 파격 혜택: 1%대 전월세 대출
-
대상: 만 19~34세 중소기업 재직 청년
-
내용:
전세 보증금 최대 1억 원, 월세 보증금 + 월세 최대 70만 원 대출
→ 연 1.2% 고정금리 -
신청처: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출 신청
✅ 보증보험 연계 필수, 조건 충족 시 신속 승인 가능
5. 지역별 청년수당 (지자체 하반기 모집 중)
청년 활동비, 면접비, 교육비 등으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
| 지역 | 지원 내용 | 상태 |
|---|---|---|
| 서울 |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 | 2025년 하반기 접수 중 |
| 부산 | 청년활동비 연 200만 원 | 선착순 접수 진행 |
| 대전 | 청년기본소득 연 100만 원 | 상시 신청 가능 |
| 전북 | 청년정착지원금 최대 500만 원 | 10~11월 집중 접수 |
🧭 지금 바로 신청을 위한 체크리스트 (2025년 10월 기준)
-
내 연령·소득 조건 각 제도와 맞는지 확인했나요?
-
신청 마감일을 캘린더에 미리 기록했나요?
-
정부24 / 복지로 / HRD-Net 계정 & 공동인증서 준비 완료?
-
제출서류 (주민등록등본, 소득증명 등) 미리 준비하셨나요?
-
중복 신청 가능한 제도 우선순위 정리하셨나요?
📝 팁: 모든 제도는 '선착순 또는 서류 완비 우선'입니다.
늦기 전에 미리 준비하세요.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지금 신청하면 2025년 안에 받을 수 있나요?
대부분의 제도는 신청 후 1~2개월 내 첫 지급이 시작됩니다.
10월에 신청하면 연내 또는 2026년 초 수령 가능합니다.
Q2. 여러 지원금을 동시에 신청해도 되나요?
네, 중복 수령 가능한 제도가 많습니다.
단, 비슷한 항목(예: 월세 지원)은 중복 불가할 수 있으니 공고문 확인 필수.
Q3. 어디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나요?
청년정책플랫폼에서 지역·나이별 전체 청년 지원 제도를 통합 검색할 수 있습니다.
Q4. 재직 중인 청년도 지원 받을 수 있나요?
네. 내일저축계좌, 전월세 대출, 청년수당 일부는 재직자 대상입니다.
반면 K-디지털 크레딧 등은 미취업자만 신청 가능하니 조건 확인 필수!
✍️ 마무리하며
2025년이 끝나기 전, 청년을 위한 진짜 혜택은 지금이 마지막 타이밍입니다.
정부와 지자체 모두 청년의 주거·자산·교육을 위한 예산을 아낌없이 배정하고 있습니다.
놓치면 최소 수백만 원 손해!
지금 바로 가능한 것부터 하나씩 신청하고, 2026년은 여유 있게 준비하세요.
.png)
0 댓글